티스토리 뷰
목차
이 포스팅에 접속하신 분들은 월차와 연차의 차이에 대해서 궁금증이 있으실 겁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법이 개정됨에 따라 월차의 개념은 사라졌습니다. 당황하실 것 전혀 없습니다.
해당 포스팅을 통해 대한민국 근로자라면 필수로 알고 있어야 할 월차와 연차의 차이를 정확히 알아보고 추가로 월차(연차)수당 계산법까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아래 버튼을 통해 빠르게 남은 연차 & 연차 수당을 계산해 보시길 바랍니다.🔽
월차와 연차 차이
☑️ 수년 전 근로기준법의 개정에 따라 월차의 개념은 사라지고 대신 연차 or 유급휴가로 대체되었습니다.
☑️ 현재는 월차라는 표현대신에 연차를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해당 포스팅에서도 월차라는 표현대신 연차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연차(유급휴가)란? [Feat. 상시 근로자]
☑️ 연자는 근로기준법 제60조 의해서 시행되고 있는 대한민국 근로자를 위한 법입니다.
☑️ 5인 이상의 상시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장(회사)은 연차, 유급휴가를 필수로 적용해야 합니다.
☑️ 5인 미만의 상시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장(회사)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다만 일부 규정은 적용이 가능합니다.
⛔ 5명 이상의 상시 근로자가 있을 때 근로기준법이 적용되니 5인 이상의 상시근로자는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 아래 계산기를 통해 정확한 상시 근로자 수를 계산해보시길 바랍니다. 🔽
월차 년차일수
☑️ 연차, 유급휴가가 언제 발생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1년 이상의 근로자와 1년 미만의 근로자로 나눠서 설명 진행하겠습니다.
1년 이상 근로자
👉 1년 이상의 근로자는 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에 따라 사용자(회사)는 1년간 80%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연차, 유급휴가를 부여해야 합니다.
1년 미만 근로자 or 1년에 80% 미만 근무한 근로자
👉 1년 미만의 근로자와 1년에 80% 미만으로 근로한 근무자는 1개월 개근 시 근로기준법 제2항에 따라 1일의 연차, 유급휴가를 부여해야 합니다.
👉 이는 여러분이 알고 계시던 1개월 만근 시 부여하는 월차의 개념과 동일합니다.
근속별 연차 일수
👉 취업 후 1년 차 이상부터는 매년 15일의 연차가 부여됩니다.
👉 연차는 2년에 1일씩 증가하고 최대 25일까지 증가가 가능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월차수당
☑️ 사용자(회사)는 근로자에게 '연차'를 부여합니다.
☑️ 연차수당은 근로기준법 제11조에 따라 '미사용 연차'를 근로자에게 금전적으로 보상해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 미사용 연차에 대한 수당을 지급하지 않는다면 임금체불에 해당하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월차수당 계산법
☑️ 근로기준법 상 연차수당은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지급하게끔 되어 있습니다.
☑️ 급여 명세서를 참고해서 1주일에 본인이 근무하는 근무시간과 기본급, 연간 상여금, 월 고정수당을 입력하면 통상임금을 자동으로 계산해 줍니다.
☑️ 연차수당 = 통상임금 X 남은 연차 개수
👉 아래 계산기 버튼을 통해 먼저 통상임금을 계산하신 후 본인에게 남은 연차 개수를 곱하시면 본인이 지급받을 수 있는 연차수당의 금액이 나옵니다.
연차 사용 촉진제도 [필수로 아셔야 합니다.]
✅ 정부는 연차 본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 연차 사용 촉진제도를 권고합니다.
✅ 연차 사용 촉진제도에 대해서 정확히 알지 못하면 남은 연차를 사용해보지도 못하고 사라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 연차 사용 촉진제도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초하시길 바랍니다.
마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차와 월차의 차이와 연차 발생 기준 그리고 연차 수당 계산하는 방법까지 정말 연차에 대해서 총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연차와 연차수당 그리고 연차 사용 촉진제도는 모두 근로기준법에 의거해서 시행되고 있는 국가에서 마련한 근로자를 위한 법입니다. 혹시 근로기준법에 대해서 궁금하실 분도 있을 거 같아서 아래 법령, 근로기준법에 대해서 첨부해 두도록 하겠습니다. 연차와 연차 미사용 시 지급받을 수 있는 연차수당은 모두 여러분 근로자들의 당연한 권리이니 이번 기회에 연차 관련해서 완벽하게 알고 가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